지원노하우

[정부사업 노하우] 정부지원사업 사업계획서 작성법 ② 성장 전략, 팀 구성 및 개요

등록일2022-11-02

정부지원사업 사업계획서 양식인 PSST 사업계획서 작성법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전편에서는 문제 인식(Problem)과 실현 가능성(Solution) 부분을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 이어서 성장 전략(Scale up)과 팀 구성(Team) 및 개요 작성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편 문제 인식(Problem)과 실현 가능성(Solution) 작성법 알아보기 (바로가기 클릭)

 

PSST 사업계획서 작성법 - 성장 전략 (Scale up)

 

정부지원사업 사업계획서 중 기업 성장 전략 부분 작성법을 살펴볼까요?

성장 전략이란 현실적 추진 방안을 의미합니다. 예전에는 자금소요, 시장 진입 및 성과 창출 전략의 2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나 최근 좀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구분한 3가지 항목으로 정리되었습니다.

 

사업화 방안(돈을 벌 방법), 사업 추진 일정(언제 무엇을 할 것인지(마일스톤)), 자금소요 및 조달계획을 작성해야 합니다.

 

사업화 방안, 사업 추진 일정, 자금소요 및 조달 계획을 담을 것

돈을 벌 방법은 ‘누구에게 무엇을 얼마나 어떻게 팔 것인가’에 대한 스토리(비즈니스 모델), 시장분석을 말합니다.

사업 추진 일정은 계획서에 작성한 내용을 실현하기 위해 언제까지 누구와 무슨 일을 어떤 방식으로 하겠다는 내용입니다.

사업 추진 과정에서 사용하는 돈은 소요 비용 부분으로 작성합니다.

 

 

PSST 사업계획서 작성법 - 팀 구성 (Team)

 

 

정부지원사업 사업계획서 중 팀 구성 부분 작성법을 살펴볼까요?

팀 구성은 “우리는 이렇게 열정과 능력을 겸비한 팀입니다.”라고 어필하는 영역입니다.

파급력이 있는 문제를 깊이 고민했고, 이를 남다른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 역량과 경험을 보유했으며, 주변에 도움을 받을 조직이나 전문가, 협력 관계에 있는 기업, 단체 등이 있다는 점을 알려야 합니다.

이로써 협약 기간 내 완수할 수 있겠다는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사람을 보고 투자한다.” 투자자들이 흔히 하는 이야기입니다.

일은 사람이 합니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어떤 사람들과 일하는지, 경험, 경력, 전문성, 열정을 보여야 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 사업화에 성공하기 위해 열정적으로 수행할 준비가 되어있는 팀임을 마음껏 드러내세요.

 

 

PSST 사업계획서 작성법 - 개요

 

 

가장 첫 페이지에 위치하는 개요, 마지막에 설명하는 이유는?

- 개요 (槪要): [명사] 간결하게 추려 낸 주요 내용

*출처: 네이버 국어사전

 

개요는 말 그대로 사업계획서의 주요 내용을 간결하게 정리한 것입니다. 계획서 상 제일 첫 페이지에 위치합니다.

그런데 왜 제일 마지막에 설명한다고 생각하시나요?

 

그건 바로 전체를 다 작성하고 나서 논리적 흐름과 스토리, 내용 간 모순점이 있는지 확인하고 요점을 정리하는 편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그 과정에서 오류를 발견할 수도 있고 내용을 좀 더 다듬는 ‘퇴고’의 효과를 볼 수도 있습니다.

 

더 좋은 방법은 사업계획서를 검토해서 발표자료까지 만든 후 그 내용 중 일부를 이미지로 활용하여 사업계획서의 시각화 효과를 높이는 것입니다.

 

심사위원을 빠르게 이해시킬 수 있도록 작성할 것

또한 빠르게 진행되는 심사 현장에서 심사위원들이 가장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페이지가 개요입니다.

대부분의 심사에서는 사업계획서를 집중해서 탐구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지지 않습니다. 하나의 계획서를 평가하고 심사 의견까지 작성하는데 15분 남짓 걸립니다.

 

물론 너무 짧은 시간이라고 생각될 수도 있지만 현실이 그렇습니다. 그러니 그 짧은 시간에 개요가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짐작하시리라 믿습니다.

 

개요 페이지는 심사위원에게 1. 이 팀이 해결하려는 문제는 무엇인가 2. 문제해결 솔루션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3. 비즈니스가 가능한가(기간 내 사업화 및 향후 수익화 가능성, 비즈니스모델의 구성)에 대해 빠르게 이해시키고 확신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다음은 개요 작성에 관한 창진원의 가이드와 이에 따른 세부 설명입니다.

 

 

정부지원사업계획서를 작성할 때 잊지 마세요!

구조화, 도식화, 적절한 이미지 사용을 통한 심사위원의 이해도 향상이 가장 중요합니다.

 

물론 “실제로 존재하는 문제인가? 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정말 중요한가? 나의 솔루션이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라는 PMF(Product Market Fit, 시장제품 적합성)를 충족시킨다는 전제하에 말입니다.

 

마지막으로 내 사업은 내가 가장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설명이 어렵습니다. 흔히 말하는 지식의 저주인 셈입니다.

계획서를 완성하신 후에는 사업 내용을 모르는 지인에게 보여주시고 “내가 무슨 말을 하는 것 같아?“라고 물어보세요. 그가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을 어떻게 다시 설명할지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사업계획서는 어려운 기술적 용어나 개념을 복잡하게 기술하는 문서가 아닙니다.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논리적으로, 문제의 심각성을 이해시킬 수 있도록, 솔루션의 수익성과 가능성을 신뢰할 수 있도록 작성하세요.

그럼 정부사업의 승률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겁니다.

 

----------

[필자: 김현주]

-(주)공감나무디자인연구소 대표

-예비창업패키지 외 공공기관 창업멘토

-2019년 사회적기업가육성사업 외 정부과제 수행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창업학 석사

----------

 

올인원 정부사업 협업관리 솔루션, 웰로비즈

똑똑하게 정부사업을 관리하시고, 다양한 지원을 토대로 더 빠르게 성장하세요!

1. 정부사업 관리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대시보드

2. 기업 정보에 맞게 필터링된 정부사업을 한 번에 확인

3. 민원서류 자동 발급 및 한글파일 온사이트 편집

4. 간편한 온사이트 사업 신청 및 내역 관리

5. 사업별 일정 관리가 가능한 캘린더

6. 멤버 초대를 통한 협업 관리 시스템

 

지금 바로 무료체험 해보세요!

웰로비즈 바로가기(클릭)

 

지금 회원가입 하고 다양한 사업 인사이트를 얻어가세요!

  • 지원사업 · 조달사업 추천 및 검색
  • 민원 서류 자동 발급·갱신
  • 서류 관리 저장소 용량 1GB
  • 합격 샘플 가득! 프리미엄 콘텐츠 제공
  • 서류 제출 시간을 단축하는 바로지원
7일 무료로 시작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