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사업

주목! 중소벤처기업부 ‘2025년 예산안’ 소상공인·스타트업 지원 확대

등록일2024-10-10

안녕하세요. 웰로비즈 팀입니다.

지난 8월 말, 중소벤처기업부는
우리 경제의 미래 성장 동력인 중소기업과
벤처 및 스타트업의 혁신성장,
그리고 글로벌 도약 지원을 위해
2025년 예산안을 발표했어요.

아울러 코로나19 위기에 이어,
고물가와 고금리고 어려움과 부담을
안고 있는 소상공인의 위기 극복을 위해
다양한 방면의 예산을 증액했습니다.

지금부터 웰로비즈가 주요 사업과
예산안을 소개해 드릴게요!

 

 

중소기업벤처부 2025년 예산 증가

중소벤처기업부는 2024년 예산이었던
14.9조 원 대비 2.3%,
즉 3,423억 원 증가한 15조 2,920억 원
규모의 예산안을 편성했어요.

 

특히 5대 중점 투자 분야를 중심으로
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분야에 집중했어요.
분야별 증액 내용을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

 

1️⃣혁신 생태계 조성 (19.2% 증액)
(1조 5,283억 원
➡️ 1조 8,220억 원)

editor

사업명'24 본예산
(단위:억 원)
전년대비
(단위:억 원)
'25 정부안
(단위:억 원)
초격차
스타트업
1000+
1,031+279
(27.1% 증가)
1,310
민관협력
오픈
이노베이션
111+89
(80.2% 증가)
200
창업규제 및
관리시스템
52+18
(34.6% 증가)
70
중소기업
모태조합
출자
4,540+460
(10.1% 증가)
5,000
중소기업
기술혁신
개발(R&D)
4,232+1,448
(34.2% 증가)
5,680
창업성장
기술개발
(R&D)
5,317+643
(12.1% 증가)
5,960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차세대 성장 동력인 AI, 반도체 등에서
글로벌 유니콘으로 성장할 딥테크
스타트업 육성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지원

 -초격차 10대 분야 스타트업 선발,
  지원 대상 500개 사 이상으로 확대
 -팹리스·AI 스타트업 맞춤형 사업화 지원 별도 신설
 -국내·외 대기업 링크업 협업 지원 신규 추진

민·관 협력 오픈 이노베이션 확대:

민간 역량을 활용한 개방형 혁신을 강화합니다!
특히, 투자 유치 시장에서 유망성을 검증받은
딥테크 스타트업과 대기업들을 매칭하는
밸류업 프로그램도 신설된다고 해요.

 -민간 대·중견기업
 -공공기관 지원 역량과 연계한 이노베이션 지원 확대
 -딥테크 스타트업 밸류업


창업 규제 및 관리시스템:

법률과 규제 문제는 신산업 분야 스타트업들의
걸림돌이라 할 수 있죠.
이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스타트업을 위해,
법률 지원 서비스 예산이 새롭게 편성되었습니다.

 -스타트업 법률 지원

중소기업모태조합출자:

혁신을 위해 민간 자본 유입을 촉진합니다.
스타트업코리아, 글로벌, M&A 등
핵심 출자 분야의 혁신 스타트업 투자를 늘이고
지역 분야 규모를 역대 최대로 확대하여
지역 스타트업의 성장 동력을 확충할 계획이에요.

 -벤처투자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부 모태펀드 출자 확대
 -벤처 투자 모멘텀 확충
 -
지역 스타트업 성장 동력 확충


⑤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R&D),
⑥창업성장기술개발(R&D):

혁신에 도전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 R&D를
수월성 중심의 혁신형 강소기업 육성으로
전환합니다.
국가전략기술분야 R&D에 집중하고
해외 우수 연구소와의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며,
팁스(TIPS) 지원을 확대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검증된 기업을 위한 트랙을 신설해요.

 -글로벌 스케일업 팁스 신설
 -
글로벌 팁스 R&D 신설

 

 

2️⃣글로벌화 (66.4% 증액)
(3,596억 원 ➡️ 5,984억 원)

editor

사업명'24 본예산
(단위:억 원)
전년대비
(단위:억 원)
'25 정부안
(단위:억 원)
수출 바우처1,119+157
(14.0% 증가)
1,276
수출지원
센터운영
27+7
(25.9% 증가)
34
신시장
진출지원
자금(융자)
2,005+1,820
(90.8% 증가)
3,825
글로벌
창업허브
구축
15+304
(2026.7% 증가)
319
글로벌기업
협업
프로그램
430+100
(23.3% 증가)
530

 

①수출바우처,
②신시장진출지원자금,
③수출지원센터 운영:

중소기업을 위해 새로운 수출 동력을
확보합니다.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등의
서비스를 바우처로 지원할 예정이며,
수출 유망기업부터 고성장 기업들의
스케일업 지원 전용 융자 규모를 확충했어요.

그 외에도 상담, 컨설팅 등 수출 지원센터의
글로벌 지원 기능을 강화했습니다.

 -테크 서비스 수출 바우처 신설
 -
재외공관 제안형 글로벌 진출 신설

④글로벌창업허브구축:

글로벌 기업들과 인재들이 모여드는
국내 창업 생태계를 만들 계획이에요.

글로벌 창업허브 구축 예산을 증액했는데,
딥테크 스타트업들이 입주하고,
글로벌 빅테크 기업, 국내·외 투자자들이
모여드는 글로벌 인프라로
키워 나갈 계획이라고 해요.

 -서울 홍익대학교 권역에 2025년 공사
  진행 예정(가칭 ‘K-딥테크 타운’)


⑤글로벌기업협업프로그램:

글로벌 대기업들과의 개방형 혁신을
확대합니다.

올해는 OpenAI, 인텔 등
글로벌 AI 선도기업들이 합류해
총 11개 사가 참여했다고 해요.

 -글로벌 대기업과의 오픈 이노베이션을
  지원하는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 확대
 -
협업 글로벌 대기업 추가 발굴

 

 

3️⃣지역·제조혁신 (16% 증액)
(4,325억 원 ➡️ 5,016억 원)

 

사업명'24 본예산
(단위:억 원)
전년대비
(단위:억 원)
'25 정부안
(단위:억 원)
지역특화
산업육성
802+49
(6.1% 증가)
851
중소기업
혁신바우처
지원
558+56
(10% 증가)
614
지역혁신
선도기업
육성R&D
- 순증216
글로벌혁신
특구육성
79+60
(75.9% 증가)
139
글로벌혁신
특구전용
R&D
20+134
(670% 증가)
154
창업중심
대학
675+100
(12.1% 증가)
775
ICT융합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2,191+170
(7.8% 증가)
2,361
지역특화
제조데이터
활성화
20+40
(200% 증가)
60

 

①지역특화산업육성,
②중소기업 혁신바우처 지원,
③지역혁신선도기업육성 R&D:

지역의 혁신 중소·벤처기업이
마음껏 도전하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듭니다.

 -지역 신성장 모델이 「레전드 50+」
  관련 사업 중심으로 편성
 -「레전드 50+」 선정 기업들의
  지역 자율형 바우처 지원 확대
 -지역 혁신 선도기업 전용 R&D 지원 신설
  지역 특화 산업 경쟁력을 강화


④글로벌혁신특구육성,
⑤글로벌혁신특구 전용 R&D,
⑥창업중심대학

 -글로벌 혁신 특구 추가 선정
 -창업중심대학 확대 운영하여
  지역 창업 클러스터 활성화

 

⑦ICT융합스마트공장보급확산
⑧지역특화제조데이터활성화:

중소기업의 생산성 극대화를 위해
디지털과 AI 기반의 제조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스마트 공장의 질적 고화 방향으로
지원 예산을 확대했습니다.

 -부처 협업형, 대·중소 상생형 등
  민·관 협력 방식의 스마트공장 고도화
 
지원 규모 확대
 -
‘자율형 공장’ 구축 지원 반영
 -
‘지역특화 제조 AI 센터’의 조성 권역 확대

 

 

4️소상공인·상권 (12.1% 증액)
(43,921억 원 ➡️ 49,231억 원)

editor

사업명'24 본예산
(단위:억 원)
전년대비
(단위:억 원)
'25 정부안
(단위:억 원)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
-순증2,037
소상공인
지원(융자)
37,100+600
(1.6% 증가)
37,700
지역신용
보증재단
재보증
1,254+855 (68.2% 증가)2,109
희망리턴
패키지
1,513+937 (61.9% 증가)2,450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
524+310 (59.2% 증가)834
민간연계
브랜드
소상공인
육성
-순증150
지역상권
기획 및 역량
강화
17+27
(158.8% 증가)
44
온누리
상품권발행
3,513+394
(11.2% 증가)
3,907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
②소상공인지원 융자,
③지역신용보증재단재보증:

고물가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덜어드려요.

고정비 성격의 배달과 택배비 지출이
부담스러울 소상공인을 위해,
영세 소상공인에 한하여
이를 한시적으로 지원합니다.

이 외에도 경영애로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어요.

 -영세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
 -
소상공인 정책융자 규모 확대
 -
대환대출 지원 지속
 -
경영애로자금 지원
 -
전환보증 중도상환 수수료 예산 반영

 

④희망리턴패키지,
⑤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
⑥민간 연계 브랜드 소상공인 육성:

위기 소상공인의 원활한 폐업부터
재취업, 재창업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희망리턴패키지 예산을 확대했어요.

 -점포 철거비 지원 400만 원까지 확대
 -
국민취업지원제도 연계 특화 취업 프로그램
 -
소상공인 성장 스케일업 기반 마련
 -
재창업 전담 PM 밀착 지원 신설
 -
소상공인 디지털 역량 강화 기회

 

⑦지역 상권기획 및 역량 강화,
⑧온누리상품권 발행:

지역 골목 상권과 함께
전통시장 소비 촉진을 통해
상권이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민간 주도의 상권 기획 협업을 추진하고
이와 관련된 예산을 확대했습니다.

 -상권발전기금 신설
 -온누리 상품권 약 5.5조 원 규모로 발행 예정

 

 

5️⃣지속 가능한 성장 (35.2% 증액)
(43,921억 원 ➡️ 49,231억 원)

editor

사업명'24 본예산
(단위:억 원)
전년대비
(단위:억 원)
'25 정부안
(단위:억 원)
사업전환
촉진
73+299
(409.6% 증가)
372
사업전환
자금(융자)
3,125+375
(12% 증가)
3,500
구조개선
촉진
23+9
(39.1% 증가)
32
구조개선
자금(융자)
1,193+808
(67.7% 증가)
2,001
동반성장
문화조성
56+32
(57.1% 증가)
88
동반성장
네트워크론
(융자)
1,000+400
(40% 증가)
1,400

 

①사업전환촉진,
②사업전환자금,
③구조개선촉진,
④구조개선자금:

역량 있는 중소기업의 성장 사다리 구축과
맞춤형 구조 개선을 통해
유망 중소기업의 스케일업과 재도약을 응원해요.

 -기업 성장 사다리 프로그램 신설
 -
선제적 구조 개선 프로그램 예산 확대
 -
성장 잠재력 중소기업 발굴
 -
구조개선계획 수립과 정책자금 지원

 

⑤동반성장문화조성,
⑥동반성장네트워크론 융자
: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합니다.

 -민관 공동 전략형 상생협력기금 신설
 -
동반성장 네트워크론 증액

 

 

 

우리 경제 성장을 위해 중소기업 및|
벤처·스타트업을 위해 다양한 예산이 확충되었어요!

지원 혜택들을 놓치지 않도록,
웰로비즈가 발빠르게 소식을 들고 오겠습니다 😊

지금 회원가입 하고 다양한 사업 인사이트를 얻어가세요!

  • 지원사업 · 조달사업 추천 및 검색
  • 민원 서류 자동 발급·갱신
  • 서류 관리 저장소 용량 1GB
  • 합격 샘플 가득! 프리미엄 콘텐츠 제공
  • 서류 제출 시간을 단축하는 바로지원
7일 무료로 시작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