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 글로벌 선도연구센터(IRC) 신규과제 공모
최대 50억
2025.01.14 ~ 2025.02.03
모집마감한국연구재단
사업 내용
사업 개요
○ 대학 특성화 분야 연구역량과 인적자원을 지속 가능한 연구기관 체계로 집적하여 ‘세계적 수준의 연구 거점’ 구축 ○ 전략기술 분야 임무중심 R&D 역량 강화 및 인재양성을 위해 대학의 역할을 강화하고 관련분야의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지원 내용
○ IRC - 연구기간 · 1단계(1~3년차): 2025. 6. 1. ∼ 2028. 5. 31.(총 36개월)(1차년도 연구기간: 2025. 6. 1. ∼ 2026. 5. 31. (총 12개월)) · 2단계(4~7년차): 2028. 6. 1. ∼ 2032. 5. 31.(총 48개월) · 3단계(8~10년차): 2032. 6. 1. ∼ 2035. 5. 31.(총 36개월) - 연구개발비: 연 50억원 이내 (간접비 포함) * 3단계 정부지원금은 단계평가 등을 통해 축소 가능하며, 단계평가 시 별도 안내 ○ 센터전용공간 제공 - 연구개시일로부터 3개월 이내 센터 전용공간(최소 990㎡ 이상) 지원 * 센터의 지속 가능성 및 공동연구 활성화를 위해 공간 집적화 권장 * 주관연구개발기관이 주관연구책임자에게 공간 사용료 부과 금지 ○ 전담 연구지원팀 운영 지원: 연구개시일로부터 3개월 이내 센터 ‘전담 연구지원팀’ 운영 의무화, 연구개시일로부터 3개월 이내 행정전담인력 1명 지원 의무화 - 행정전담인력 포함 연구장비‧산학협력‧통계데이터‧비즈니스 모델전문가 등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전담팀 운영 * 센터장이 연구센터 운영을 총괄할 수 있도록, 행정 전반을 담당하는 사무국장(행정실장 등)을 자율적으로 구성 가능(대학 교직원 또는 외부 채용 가능) * (교비대응자금 외) 직접비의 연구지원인력 인건비 활용 가능 - 각종 전문인력 채용을 위한 인건비 책정 및 혁신연구센터 소속 연구원*의 안정적인 신분보장 등을 위한 기관 차원의 제도적 지원 필요 * 포닥 연구원의 연구교수 지위, 우수 테크니션 정규직(또는 무기계약직) 채용, 수업의무 없는 석좌연구교수 등 - 학교 자체 재원(간접비 포함)으로 채용된 학교 또는 산단 소속 정규직 의무 지원(파견 등 활용 가능) ○ 센터 전임교원 충원 - 1단계 이내 센터 전임교원 1명 이상 채용 및 해당 인원을 공동연구진으로 구성 * 과제신청 시 전임교원 채용 계획 제출. 전임교원 채용 인원 수 만큼 공동연구원 수 증원 인정 ○ 기술료 재투자 - 주관연구개발기관이 RLRC에서 창출한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제3자와 기술실시계약을 체결할 경우, 주관연구개발기관은 총 기술료의 15% 이상을 RLRC 연구개발에 재투자 의무화 ○ 기타지원 - 총 연구기간 동안 연구책임자의 재직 보장 - 독립된 센터로 설치 및 운영 지원
지원 대상
○ 지원분야: 12대 국가전략기술 관련 대학별 과학기술 특성화 분야 -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차세대 원자력, 첨단 바이오 , 우주항공·해양, 수소, 사이버보안, 인공지능, 차세대 통신, 첨단로봇·제조, 양자 * 위의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대학별 1개 분야만 선택하여 1개 과제만 신청 가능 ○ 주관연구개발기관의 자격 - 이공계 분야 대학원(석/박사 과정)이 설치되어 있는 국내 지역대학 *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하지 않은 대학으로, 5대 과학기술특성화대학(KAIST, GIST, DGIST, UNIST, POSTECH)은 제외 ○ 연구진 구성 및 자격 - 연구진은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원, 참여연구원 등으로 구성 * 본 사업의 공동연구원은 연구책임자와 연구개발과제를 분담하여 공동으로 수행하는 연구자를 의미하며,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상 참여연구자에 해당 - 연구책임자와 공동연구원은 아래의 자격 기준 및 요건을 반드시 충족하여야 함 * MRC 주관연구책임자는 신규과제 신청마감일 기준 의학분야(의·치·한의학) 기초의학교실 및 약학대학에 소속된 기초의과학자여야 함 * 기초의과학자(Ph.D., 약학박사, 진료의무가 없는 의사, 치과의사 및 한의사) - 연구책임자는 타 국가연구개발사업(기초연구사업 포함) 연구책임자로 1개 과제만 추가 수행 가능(리더연구 연구책임자 및 타 집단연구사업 중복수행 불가) * 단, 신규과제 연구개시일로부터 10개월 이내 종료되는 경우 또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제64조제2항에 해당하는 경우는 예외 - 연구책임자: 국내 대학 소속 이공분야 전임교원(신청 마감일 기준 주관연구개발기관에 재직) · 연구기간 동안 재직 보장 · 센터 포함 연구책임자로 2과제 이내 수행(2책5공) - 공동연구원: 국내외 대학 소속 교원(전임․비전임) 또는 국내외 공공․민간연구소의 선임연구원(정규직) 이상 - 참여연구원: 학부생 및 석·박사 과정생, 학·석·박사급 연구원(단, 과정생이 아닌 경우 고용계약 체결 필수) * 전임교원은 참여 불가
유의사항
○ 제외대상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한 제재처분을 받은 연구자는 참여제한 기간이 신규과제 신청마감 전일(2025.2.5.)까지 종료되는 경우 신규과제 신청 가능 - 연구자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제는 최대 5개 이내로 하며, 그 중 연구책임자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제는 최대 3개 이내 * 선도연구센터의 경우, 주관연구책임자(센터장)만 연구책임자에 해당 -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법 제35조제1항에 따라 연구자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제 수를 최대 5개로, 그 중 연구책임자로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제 수를 최대 3개로 제한할 수 있다. -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제2조제3호에 따른 외국법인인 연구개발기관(연구개발과제협약에 따라 연구개발비를 부담하는 연구개발기관으로 한정한다)과 연구개발과제를 공동으로 수행하는 국내 연구개발기관의 연구자에 대해서는 제1항에도 불구하고 연구자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제 수를 최대 6개로, 그 중 연구책임자로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제 수를 최대 4개로 제한할 수 있다. - 제9조제2항 또는 제10조제2항에 따른 연구개발계획서의 제출 마감일부터 6개월 이내에 수행이 종료되는 연구개발과제 - 사전 조사, 기획ㆍ평가연구 또는 시험ㆍ검사ㆍ분석에 관한 연구개발과제 - 연구개발과제의 조정 및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개발과제 - 연구개발을 주목적으로 하지 않는 기반 구축 사업, 제5조제1호ㆍ제2호의 사업, 인력 양성 사업 및 학술활동사업 관련 연구개발과제 - 법 제3조제1호에 따른 사업 관련 연구개발과제 - 법 제4조 단서의 기본사업 관련 연구개발과제 -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연구개발기관이 중소기업과 공동으로 수행하는 연구개발과제로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그 연구개발비를 별도로 정하는 연구개발과제 * 법 제2조제3호나목부터 바목까지의 규정에 해당하는 연구개발기관 * 「산업기술혁신 촉진법」 제42조에 따른 전문생산기술연구소 - 그 밖에 연구개발 촉진 등을 위하여 연구개발과제 수에 포함하지 않고 산정할 필요가 있어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심의를 거친 연구개발과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교육부 소관 기초연구 집단연구사업을 수행 중인 연구자(연구책임자 또는 공동연구원)는 2025년도 글로벌 선도연구센터 신규과제 연구책임자로 신청 또는 공동연구원으로 참여 불가하며, 글로벌 리더연구 연구책임자는 2025년도 선도연구센터 신규과제 연구책임자로 신청 불가 * 단, 수행 중인 사업이 신규과제 연구개시일(2025.6.1.)을 기준으로 10개월 이내(2026.3.31.)에 최종종료(연차 및 단계 종료 아님)될 경우 신청 가능 - 타 선도연구센터(SRC, ERC, MRC, CRC, RLRC)에 참여 중인 공동연구원(연구책임자 제외)은 IRC 사업에 신청 및 참여 가능 * 1차년도 수행기간 동안 중복 참여를 한시적으로 허용하되, IRC 사업 전념을 위해 2차년도부터는 신규 IRC만 참여하여야 함 * 기존 선도연구센터의 연구진 구성요건을 반드시 유지하여야 하며, IRC에 참여하는 인원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공동연구원 변경 또는 제외) 후 보고하여야 함 * 단, 기존 선도연구센터 보호를 위해 사업 참여 완화 조치는 하나의 혁신연구센터 당 3명까지만 가능
문의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IRIS 운영단 1877-2041 ○ 사업 관련: 사업내용 ‧ 지원조건 등 문의 - 한국연구재단 집단연구지원팀 042-869-6828, 6829, 6822, 6826 ○ 평가 관련: 선정평가 절차·방법·결과 등 -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 자연과학단 042-869-6552 -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 생명과학단 042-869-6533 -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 의약학단 042-869-6055 -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 공학단 042-869-6545 -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 ICTㆍ융합연구단 042-869-6562
매칭 키워드
사업 일정
기업 수행주관기관 수행2025.02.03
모집마감3월 중
3월 말~3월 초
4월 말~5월 초
5월 중
2025.06.01
첨부 서류
1-1. 글로벌 선도연구센터(IRC) 연구개발계획서(연구개발 및 센터운영계획) 양식.hwp
1-2. 첨부목록 양식(수정).hwp
1-3. 연구개시일 기준 현재 수행 중인 타 과제 현황(연구책임자, 공동연구원).xlsx
1-4. 신청 자격의 적정성 확인서(수정).hwp
1-5. 개인정보 및 과세정보의 제공활용 동의서, 제3자 제공 동의서.hwp
3-2. 혁신연구센터(IRC) 간접비 계산기.xlsx
3-3. (예시) 연구개시일 기준 현재 수행 중인 타 과제 현황(연구책임자, 공동연구원).xlsx
3. 2025년도 글로벌 선도연구센터(IRC) 신규과제 신청요강(수정).hwp
제출 서류
작성 서류 (*필수)
사용자 서류 (*필수)
정부사업 탐색과 관리까지 웰로비즈에서 한 번에!
평균 공고 탐색 시간 2시간, 나에게 꼭 맞는 사업 찾기 어렵나요?
웰로비즈로 맞춤 지원·조달 사업을 매일매일 받아보세요.
민원 서류 간편 발급과 정부사업 인사이트도 확인할 수 있어요.
7일 무료로 시작하기이미 가입하셨다면? 로그인하기